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useState
- CSS
- 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
- 합병 정렬
- BOJ
- 연결리스트
- 브루트포스
- react
- sort
- 정규표현식
- 기술면접
- 백준
- Node
- hash
- 병합 정렬
- 정렬
- state
-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 JS
- node.js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코테
- 최소공배수
- 해시
- 딥다이브
- 리액트
- 완전탐색
- Today
- Total
목록CS (2)
가치투자자

연결리스트 (Linked List) 큐(queue)에 해당하는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가 시간 복잡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결리스트에 대해 공부해보았다. 1. 연결리스트란? 연결리스트(Linked List) 는 index 번호를 사용하는 배열과 달리 연결(link)을 이용해 구현한 리스트를 말한다. 배열의 경우엔 아래처럼 index 번호로 값을 알 수 있다. 즉, index 번호와 값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const arr = ['a', 'b', 'c']; console.log(arr[1]) // index 1번의 값은 b 하지만 연결리스트는 각각의 값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아래의 사진을 보면, 10이라는 값에는 10이라는 data뿐만 아니라 10과 연결된 20의 주소(Link)까지도 담고 있다. 이..

스택(stack)과 큐(queue) 스택과 큐. 처음 들었을 땐 어려울 수 있지만, 쉽게 설명해보고자 한다. 1. 스택 (Stack) 스택(stack) 은 데이터를 아래에서 위로 쌓아올리는 구조를 말한다. 이때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때 위에서부터 추가/삭제해야 하며, 이러한 자료구조를 LIFO(후입선출, Last-in, First-out)이라고 한다.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을 수 있다. 브라우저창에서 뒤로가기 새로운 주소에 접속하면 그 방문기록이 히스토리 스택 아래에서부터 쌓일거고, 뒤로 돌아간다는건 맨 위에 쌓인 방문기록에서 아래로 돌아가는 것 Ctrl+Z로 실행 취소하여 직전 상태로 되돌아가기 역순 문자열 만들기 가장 마지막에 입력된 문자부터 출력하기 때문 수식의 괄호 검사 연산자 우선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