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S
- 백준
- 기술면접
- state
- JavaScript
- 정렬
- sort
- 리액트
- 병합 정렬
- hash
- 딥다이브
- react
- CSS
- 자료구조
- 최소공배수
- Node
- 브루트포스
- 해시
- 알고리즘
- 연결리스트
- node.js
- 코딩테스트
- 코테
- 완전탐색
- 프로그래머스
- 정규표현식
- 합병 정렬
- BOJ
- useState
- 자바스크립트
- Today
- Total
가치투자자
[알고리즘] 병합 정렬 (merge sort) 본문
병합 정렬 (merge sort)
1. 병합 정렬이란?
병합 정렬(merge sort)은 어떤 문제를 2개의 작은 문제로 분리해 각각 해결한 다음, 이걸 모아서 원래 문제를 해결하는 분할 정복 알고리즘 중 하나다.
병합 정렬 알고리즘은 다음 개념들을 바탕으로 진행된다.
- 분할(Divide) : 입력된 배열을 같은 크기의 부분 배열 2개로 분할한다.
- 정복(Conquer) : 부분 배열의 크기가 충분히 작지 않으면(리스트의 길이가 0 또는 1이 아니면) 다시 분할을 한다.
- 결합 (Combine) : 정렬된 부분 배열들을 하나의 배열에 병합한다.
병합 정렬은 다음 단계들로 진행된다.
- 부분 배열의 요소들을 결합할 빈 배열이 필요하다.
- 부분 배열의 크기(length)가 1이 될 때까지 쪼개준다.
- 부분 배열의 0번째 인덱스 값을 비교해 더 작은 값을 빈 배열에 넣어준다.
- 이 과정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정렬된 배열을 만들어준다.
예시를 살펴보자.
- [21, 10, 12, 20, 25, 13, 15, 22]를 크기가 1인 부분 배열로 쪼개준다.
- [21], [10], [12], [20] 앞에 4개의 부분 배열의 경우, 1번째와 2번째 배열의 0번째 요소를 서로 비교하고 작은 것을 먼저 빈 배열에 넣어 [10, 21]로 만들어주고, [12]와 [20]도 같은 방식으로 [12, 20]으로 만들어준다.
- [10, 21]과 [12, 20]의 경우 0번째 요소를 비교해 빈 배열에 10을 넣어 [10]을 만들어주면 [21]과 [12, 20]이 남는데, 다시 0번째 21과 12를 비교해 [10, 12]를 만들어주면 [21]과 [20]이 남는다. 이 과정을 반복해 [10, 12, 20, 21]을 만들어준다.
- 이처럼 0번째 인덱스 값을 비교해 빈 배열에 넣어주는 과정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정렬된 배열을 만들어준다.
2. 병합 정렬 구현 코드
위와 같은 과정을 구현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
arr라는 정렬되지 않은 배열이 입력되었고, 이것을 부분 배열로 쪼개주는 함수 mergeSort와 부분 분열의 0번째 인덱스 값을 비교해주는 함수 merge로 구성되어져 있다.
function merge(left, right) {
const result = [];
while (left.length && right.length) {
if (left[0] <= right[0]) { // 0번째 요소끼리 비교
result.push(left.shift());
} else {
result.push(right.shift());
}
}
while (left.length) {
result.push(left.shift());
}
while (right.length) {
result.push(right.shift());
}
return result;
}
// 정렬되지 않은 배열 arr를 요소 1개만 가진 배열이 될 때까지 쪼개기
function mergeSort(arr) {
if (arr.length < 2) {
return arr;
}
const mid = Math.ceil(arr.length / 2);
const left = mergeSort(arr.slice(0, mid));
const right = mergeSort(arr.slice(mid, arr.length));
return merge(left, right);
}
위 코드를 좀 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중간중간 console.log() 로 각각의 값들을 찍어보기로 했다.
const arr = [21, 10, 12, 20];
mergeSort(arr);
function merge(left, right) {
const result = [];
while (left.length && right.length) {
if (left[0] <= right[0]) { // 0번째 요소끼리 비교
result.push(left.shift());
} else {
result.push(right.shift());
}
}
while (left.length) {
result.push(left.shift());
}
while (right.length) {
result.push(right.shift());
}
console.log(`결과: ${result}`);
return result;
}
// 정렬되지 않은 배열 arr를 요소 1개만 가진 배열이 될 때까지 쪼개기
function mergeSort(arr) {
if (arr.length < 2) {
return arr;
}
const mid = Math.ceil(arr.length / 2);
const left = mergeSort(arr.slice(0, mid));
console.log(`왼쪽: ${left}`)
const right = mergeSort(arr.slice(mid, arr.length));
console.log(`오른쪽: ${right}`)
return merge(left, right);
}
[21, 10, 12, 20]의 배열을 예시로 넣었을 때, 콘솔창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일단 반으로 쪼개면 left는 [21, 10], right는 [12, 20]이 된다.
이걸 다시 재귀적으로 돌리기에 left가 [21], right가 [10]이 되고, 이것이 함수 merge()에 들어가서 result가 [10, 21]이 된다. 그래서 왼쪽에는 [10, 21]이 할당된다.
right도 마찬가지로 left에 [12], right에 [20]이 할당되고, 함수 merge()로 오른쪽에 [12, 20]이 할당된다.
마지막으로, left에 [10, 21], right에 [12, 20]이 merge() 함수에 들어가 인덱스 0번째 값이 비교되면서 result는 [10, 12, 20, 21]이 된다.
왼쪽: 21
오른쪽: 10
결과: 10,21
왼쪽: 10,21
왼쪽: 12
오른쪽: 20
결과: 12,20
오른쪽: 12,20
결과: 10,12,20,21
만약 배열의 요소가 홀수일 경우는 어떻게 될까?
[5, 4, 1, 3, 2]를 예시로 결과값을 출력해보았다.
일단 [5, 4, 1]와 [3, 2]로 나눠진다.
left는 홀수이기에 [5, 4]와 [1]로 나눈 뒤, [5, 4]를 정렬해 왼쪽에 할당해주고, 오른쪽 [1]과 비교해서 [1, 4, 5]로 정렬해준다.
right는 앞선 짝수 과정을 통해 [2, 3]이 할당된다.
마지막으로, left [1, 4, 5]와 right [2, 3]을 서로 비교해 [1, 2, 3, 4, 5]를 출력해준다.
왼쪽: 5
오른쪽: 4
결과: 4,5
왼쪽: 4,5
오른쪽: 1
결과: 1,4,5
왼쪽: 1,4,5
왼쪽: 3
오른쪽: 2
결과: 2,3
오른쪽: 2,3
결과: 1,2,3,4,5
3. 병합 정렬의 장단점
장점
- 안정적인 정렬 방법
- 입력된 데이터(배열)가 무엇이든 간에 정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동일하다 (O(nlog₂n)로 동일) - 만약 레코드를 연결 리스트(Linked List)로 구성하면, 링크 인덱스만 변경되므로 데이터의 이동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진다.
- 제자리 정렬(in-place sorting)로 구현할 수 있다. - 따라서 크기가 큰 레코드를 정렬할 경우, 연결 리스트를 사용한다면 병합 정렬은 퀵 정렬을 포함한 다른 어떤 정렬 알고리즘보다 효율적이다
단점
- 만약 레코드를 배열(Array)로 구성하면, 임시 배열이 필요하다.
- 제자리 정렬(in-place sorting)이 아니다. - 레코드들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이동 횟수가 많아지므로 시간적 낭비가 매우 크다.
</> 끊임없이 성장하기 위해 공부한 내용을 글로 작성하고 있습니다. 틀린 부분이나 추가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References
'Computer Science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LRU 알고리즘 (0) | 2023.06.20 |
---|---|
[알고리즘] 깊이 우선 탐색(DFS)과 너비 우선 탐색(BFS) (0) | 2023.04.29 |
[알고리즘] 유클리드 호제법 (1) | 2023.04.13 |
[알고리즘] 퀵 정렬 (Quick Sort) (0) | 2023.03.29 |